1부 - 101209
2부 - 101219
모든 분야에서 빼어남이 뭔지를 보여주었던 조선의 세종대왕.
모계의 천민 신분을 이어가야 하는 노비 장영실이 만나서
조선의 하늘을 열었고, 그 열었던 하늘을 닫아야 했던 이야기이다.
장영실은 혈연으로 인한 한을 한으로 남겨두지 않고
자신의 영민한 머리와 호기심을 채우는 에너지로 사용한다.
비록 노비여서 공부를 할수도, 관직에 나아갈수도 없을뿐 아니라 관노로서 사노로서 온갖 잡무를해야 하지만
그 속에서 자신의 실사구시 철학을 실현하고, 자신의 이상을 펼치려 살고
그런 삶을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결혼도 지양한다.
그런 삶의 방향을 잡을수 있었던 것은 스승님들의 은혜 덕분이기도 하다.
그 은혜로움의 끝이 태종과의 만남이다.
그 태종이 그 세종과의 만남을 마련해주었다.
그래서 장영실은 자신을 인정해주고 자신이 잘하고 잘하고 싶은 분야, -천문학을 위한 의기 제작-에 전력을 다하며,
중국유학을 2번이나 다녀오는등. 그러면서 면천에 결혼에 높은 관직까지 받고,
어느 정도 유학 숭상만을 하는 다른 관리들에게 인정도 받고.
하지만. 우리나라가 너무 약소한 "문명국"이엇다는 사실이 문제였다
세종의 능력과는 별개의 문제였던 것이다.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을 구축했다는 사실에 중국은 3번을 크게 경고한다.
1번째 경고때 세종 이하 모든 관직자들이 고개를 숙이고 사신을 접대하였으나.
2번째 경고때 세종이 중국 황제에게 자신과 조선을 낮추며 중국에게 잘 봐달라고 이해해달라고 조서를 쓴 부분을 보는 순간. 18.. 이란 말밖에 안 나오는
약소 국의 서러움이 전해졌다.
3번째 경고때 세종도 더는 버티지 못하고 장영실로 대표되는 조선의 독립적인 천문학을 덮고 만다.
꽃 피우지 못한 세종과 장영실의 꿈.
그건 지금도 현재 진행형인것이다.
강대국 틈바구니에서의 과학입국......
RECENT COMMENT